맨위로가기

룩셈부르크의 군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룩셈부르크의 군주는 룩셈부르크의 국가 원수이며, 룩셈부르크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현존하는 주권 대공국이다. 룩셈부르크는 1815년 네덜란드와 통합되어 대공국으로 격상되었으며, 룩셈부르크 헌법에 따라 대공은 국가의 통합을 상징하고 독립을 보증하는 역할을 한다. 룩셈부르크의 군주는 963년 지크프리트 반 룩셈부르크가 룩셈부르크를 차지한 이후 룩셈부르크 백작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1354년 공국으로 승격되었다. 1890년 네덜란드와의 동군연합이 해체된 후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이 대공위를 계승했으며, 현재는 앙리가 룩셈부르크 대공으로 재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룩셈부르크의 군주

2. 룩셈부르크 백작

963년 지크프리트가 룩셈부르크를 차지하면서 룩셈부르크 백작위가 시작되었다. 이후 룩셈부르크 왕가, 룩셈부르크 나무르 가문, 호엔슈타우펜 왕가를 거쳐 룩셈부르크 림부르크 가문이 백작위를 이었다.


  • 룩셈부르크 왕가 (963년 ~ 1136년): 지크프리트부터 콘라드 2세까지 8명의 백작이 통치했다.

  • 룩셈부르크 나무르 가문 (1136년 ~ 1196년): 앙리 4세가 룩셈부르크 백작을 상속받았다.

  • 호엔슈타우펜 왕가 (1196년 ~ 1197년): 오토 1세가 잠시 룩셈부르크를 통치했다.

  • 룩셈부르크 나무르 가문 (1197년 ~ 1247년): 앙리 4세의 외동딸 에르메신데가 백작위를 계승했다. 에르메신데는 테오발트 1세 및 발레랑 3세와 결혼하여 공동 통치하였다.

  • 룩셈부르크 림부르크 가문 (1247년 ~ 1354년): 앙리 5세 금발왕부터 벤첼 1세까지 6명의 백작이 통치했다.

2. 1. 룩셈부르크 왕가 (아르덴-룩셈부르크 가문)

룩셈부르크 왕가 (아르덴-룩셈부르크 가문)
그림이름출생사망재위선임 군주와의 관계
지크프리트922년998년 10월 28일963년 ~ 998년 10월 28일
헨리 1세964년1026년 2월 27일998년 10월 28일 ~ 1026년 2월 27일지크프리트의 아들
헨리 2세1007년1047년 10월 16일1026년 2월 27일 ~ 1047년 10월 16일헨리 1세의 조카
기젤베르1007년1059년 8월 14일1047년 10월 16일 ~ 1059년 8월 14일헨리 2세의 형제
콘라트 1세1040년1086년 8월 8일1059년 8월 14일 ~ 1086년 8월 8일기젤베르의 아들
--헨리 3세1070년1096년1086년 8월 8일 ~ 1096년콘라트 1세의 아들
윌리엄 1세1081년1131년1096년 ~ 1131년헨리 3세의 형제
콘라트 2세1106년1136년1131년 ~ 1136년윌리엄 1세의 아들
에르메신드 1세1080년1143년1136년 ~ 1136년콘라트 1세의 고모


2. 2. 룩셈부르크-나무르 가문

("맹인")1112년1196년 8월 14일1136년

1196년 8월 14일나뮈르 백작 (앙리 1세)
에르메신데1186년 7월1247년 2월 12일1197년
~
1247년 2월 12일style="text-align:center;"|
테오발트 1세1158년1214년 2월 13일1197년
~
1214년 2월 13일에르메신데의 첫 남편, 공동 통치자
발람 3세1180년1226년 7월 2일1214년 5월
~
1226년 7월 2일에르메신데의 두 번째 남편, 공동 통치자


2. 3. 호엔슈타우펜 왕가

사진이름출생사망재위전임자와의 관계
오토1170년 6/7월1200년 1월 13일1196년

1197년
3촌 간접 관계


2. 4. 룩셈부르크-나무르 가문

사진
초상화
이름출생년월일사망년월일통치기간비고
에르메신데 여백작1186년 7월1247년 2월 12일1197년~1247년 2월 12일앙리 4세의 외동딸
테오발트 1세1158년1214년 2월 13일1197년~1214년 2월 13일에르메신데의 첫 남편, 공동 통치
발레랑 3세1180년1226년 7월 2일1214년 5월~1226년 7월 2일에르메신데의 두 번째 남편, 공동 통치



앙리 4세 (1136년 - 1196년) 사후, 외동딸인 에르메신데가 룩셈부르크 백작위를 계승했다. 에르메신데는 테오발트 1세(1197년 - 1214년)와 발레랑 3세(1214년 - 1226년)와 차례로 결혼하여, 이들은 에르메신데와 함께 룩셈부르크를 공동 통치했다.

2. 5. 룩셈부르크-림부르크 가문

사진이름출생사망재위 기간비고
헨리 5세
(금발공)
1216년1281년 12월 24일1247년 2월 12일 ~ 1281년 12월 24일
헨리 6세
(정죄된 자)
1240년1288년 6월 5일1281년 12월 24일 ~ 1288년 7월 5일헨리 5세의 아들
헨리 7세1270년/1275년1313년 8월 24일1288년 7월 5일 ~ 1313년 8월 24일헨리 6세의 아들
요한
(눈먼 자)
1296년 8월 10일1346년 8월 26일1313년 8월 24일 ~ 1346년 8월 26일헨리 7세의 아들
카를 4세1316년 5월 14일1378년 11월 29일1346년 8월 26일 ~ 1353년요한의 아들
벤체슬라오 1세1337년 2월 25일1383년 12월 7일1353년 ~ 1354년 3월 13일카를 4세의 형제


3. 룩셈부르크 공작

1354년 룩셈부르크 백국은 공국으로 승격되었다.

사진
초상화
이름출생년월일사망년월일통치기간비고
룩셈부르크 림부르크 가문
벤첼 1세1337년 2월 25일1383년 12월 7일1354년 3월 13일~1383년 12월 7일
벤첼 2세1361년 2월 26일1419년 8월 16일1383년 12월 7일~1388년
요프스트1351년 12월1411년 7월 18일1388년~1411년 7월 18일
엘리자베트 1세1390년 11월1451년 8월 2일1411년 7월 18일~1443년
브라반트 공작 안토니1384년 8월1415년 10월 25일1411년 7월 18일~1415년 10월 25일엘리자베트 1세의 첫 부군, 공동통치자
요한 2세1374년1425년 7월 6일1418년 3월 10일~1425년 7월 6일엘리자베트 1세의 두 번째 부군, 공동통치자
계승권 주장자
--엘리자베트 1세1390년 11월1451년 8월 2일1443년~1451년 8월 2일
라디슬라오1440년 2월 22일1457년 11월 23일1451년 8월 2일~1457년 11월 23일
룩셈부르크 여공작 앤1432년 4월 12일1462년 11월 13일1457년 11월 23일~1462년 11월 13일
빌헬름 3세1425년 4월 30일1482년 9월 17일앤의 부군
엘리자베트 2세1436년1505년 8월 30일1462년 11월 13일~1467년
카지미르 4세1427년 11월 30일1492년 7월 7일엘리자베트 2세의 부군
발루아 부르고뉴 가문
필리프 1세1396년 7월 31일1467년 7월 15일1443년~1467년 7월 15일
샤를 2세1433년 11월 10일1477년 1월 5일1467년 7월 15일~1477년 1월 5일
마리 1세1457년 2월 13일1482년 3월 27일1477년 1월 5일~1482년 3월 27일
합스부르크 왕가
막시밀리안 1세1459년 3월 22일1519년 7월 12일1477년 1월 5일~1487년 3월 27일마리 1세의 부군
필리프 2세1478년 7월 22일1506년 9월 25일1487년 3월 27일~1506년 9월 25일
샤를 3세1500년 2월 24일1558년 9월 21일1506년 9월 25일~1556년 1월 16일
필리프 3세1527년 3월 21일1558년 9월 21일1556년 1월 16일~1558년 9월 21일
이사벨라 클라라 에우헤니아1566년 8월 12일1633년 12월 1일1598년 5월 6일~1621년 7월 13일
알베르트1559년 11월 15일1621년 7월 13일
필리프 4세1605년 4월 8일1665년 9월 17일1621년 7월 13일~1665년 9월 17일
샤를 4세1661년 11월 6일1700년 11월 1일1665년 9월 17일~1700년 11월 1일
부르봉 왕가
필리프 5세1683년 12월 19일1746년 7월 9일1700년 11월 1일~1712년
비텔스바흐 왕가
막시밀리안 2세1662년 7월 11일1726년 2월 26일1712년~1713년 4월 11일
합스부르크 왕가
샤를 5세1685년 10월 1일1740년 10월 20일1713년 4월 11일~1740년 10월 20일
마리 2세 테레지아1717년 5월 13일1780년 11월 29일1740년 10월 20일~1780년 11월 29일
합스부르크 로트링겐 왕가
프란츠 1세1708년 12월 8일1765년 8월 18일1740년 10월 20일~1765년 8월 18일마리 2세 테레지아의 부군
요제프 2세1741년 3월 13일1790년 2월 20일1780년 11월 29일~1790년 2월 20일
레오폴트 2세1747년 3월 5일1792년 3월 1일1790년 2월 20일~1792년 3월 1일
프란츠 2세1768년 2월 12일1835년 3월 2일1792년 3월 1일~1794년


3. 1. 룩셈부르크-림부르크 가문

1354년 3월 13일 룩셈부르크 백국이 공국으로 승격되면서, 룩셈부르크 림부르크 가문이 룩셈부르크의 통치권을 갖게 되었다.

사진이름출생사망통치 기간비고
벤체슬라우스 1세1337년 2월 25일1383년 12월 7일1354년 3월 13일 ~ 1383년 12월 7일
벤체슬라우스 2세1361년 2월 26일1419년 8월 16일1383년 12월 7일 ~ 1388년
요프스트1351년 12월1411년 1월 18일1388년 ~ 1411년 1월 18일
엘리자베트 1세1390년 11월1451년 8월 2일1411년 1월 18일 ~ 1443년
앙투안1384년 8월1415년 10월 25일1411년 1월 18일 ~ 1415년 10월 25일엘리자베트 1세의 첫 남편, 공동 통치
요한 2세1374년1425년 1월 6일1418년 3월 10일 ~ 1425년 1월 6일엘리자베트 1세의 두 번째 남편, 공동 통치



엘리자베트 1세는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1441년 룩셈부르크를 필리프 3세에게 매각했지만, 오스트리아의 안이 룩셈부르크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면서 상속 분쟁이 발생했다.

3. 1. 1. 계승권 주장자

사진이름출생사망재위 기간전임자와의 관계
--엘리자베트 1세1390년 11월1451년 8월 2일1443년 ~ 1451년 8월 2일
포스투무스 라디슬라우스1440년 2월 22일1457년 11월 23일1451년 8월 2일 ~ 1457년 11월 23일엘리자베트 1세의 외사촌
안나1432년 4월 12일1462년 11월 13일1457년 11월 23일 ~ 1462년 11월 13일포스투무스 라디슬라우스의 누이
빌헬름 3세1425년 4월 30일1482년 9월 17일안나의 남편이자 공동 주장자
엘리자베트 2세1436년1505년 8월 30일1462년 11월 13일 ~ 1467년안나의 누이
카지미에시 4세1427년 11월 30일1492년 6월 7일엘리자베트 2세의 남편이자 공동 주장자
이르지1420년 4월 23일1471년 3월 22일1458년 ~ 1471년보헤미아 왕으로 칭함[1]


3. 2. 발루아-부르고뉴 가문

초상화이름출생일사망일재위 기간전임자와의 관계
필리프 1세1396년 7월 31일1467년 7월 15일1443년~1467년 7월 15일엘리자베트 1세의 사촌, "찬탈자"
샤를 2세1433년 11월 10일1477년 1월 5일1467년 7월 15일~1477년 1월 5일필리프 1세의 아들
마리 1세1457년 2월 13일1482년 3월 27일1477년 1월 5일~1482년 3월 27일샤를 2세의 딸



1443년, 룩셈부르크 백작령은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3세 (선량공)에게 점령되어 부르고뉴령 네덜란드의 일부로서 통치되었다.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에게 계승되어 1794년 프랑스에게 점령당할 때까지 통치되었다. 1469년까지는 룩셈부르크 가문 및 그 친척들이 명목상의 공작위를 주장했다.

3. 3. 합스부르크 왕가

"미남공"1478년 7월 22일1506년 9월 25일1482년 3월 27일~1506년 9월 25일아들
카를 3세
"금세공"1500년 2월 24일1558년 9월 21일1506년 9월 25일~1556년 1월 16일아들필리페 3세
"현명공"1527년 5월 21일1598년 9월 13일1556년 1월 16일~1598년 5월 6일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1566년 8월 12일1633년 12월 1일1598년 5월 6일~1621년 7월 13일딸알베르트1559년 11월 15일1621년 7월 13일사위
필리페 4세
"대왕"1605년 4월 8일1665년 9월 17일1621년 7월 13일~1665년 9월 17일조카
카를 4세
"마법에 걸린 왕"1661년 11월 6일1700년 11월 1일1665년 9월 17일~1700년 11월 1일아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1714) 동안 룩셈부르크 공작령은 부르봉 왕가의 필리프 5세와 합스부르크 왕가의 샤를 5세 사이에서 분쟁이 있었다. 1712년, 룩셈부르크나뮈르는 프랑스 동맹국에 의해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에게 양도되었지만, 1713년 위트레흐트 조약으로 전쟁이 끝난 후 막시밀리안 에마누엘은 바이에른의 선제후로 복귀했다. 1713년, 룩셈부르크 공작령은 합스부르크 왕가의 오스트리아 분가로 넘어갔다.

사진이름출생사망통치 기간
샤를 5세1685년 10월 1일1740년 10월 20일1713년 4월 11일~1740년 10월 20일
마리 2세 테레지아1717년 5월 13일1780년 11월 29일1740년 10월 20일~1780년 11월 29일


3. 4. 부르봉 왕가

그림이름출생사망재위전임자와의 관계
펠리페 5세
필리프 드 프랑스
1683년 12월 19일1746년 7월 9일1700년 11월 1일 ~ 1712년샤를 4세의 증손자


3. 5. 비텔스바흐 왕가

안톤 니콜라우스 프란츠
이그나츠 펠릭스1662년|1662년de 7월 11일1726년|1726년de 2월 26일1712년

1713년 4월 11일그의 삼촌


3. 6. 합스부르크 왕가

사진
초상화
이름출생년월일사망년월일통치기간비고
라디슬라오1440년 2월 22일1457년 11월 23일1451년 8월 2일~1457년 11월 23일
룩셈부르크 여공작 앤1432년 4월 12일1462년 11월 13일1457년 11월 23일~1462년 11월 13일
룩셈부르크 공작 기욤 3세1425년 4월 30일1482년 9월 17일앤의 부군
엘리자베트 2세1436년1505년 8월 30일1462년 11월 13일~1467년
카지미르 4세 지겔롱1427년 11월 30일1492년 7월 7일엘리자베트 2세의 부군
합스부르크 왕가
막시밀리안 1세1459년 3월 22일1519년 7월 12일1477년 1월 5일~1487년 3월 27일마리 1세의 부군
필리프 2세 미남왕1478년 7월 22일1506년 9월 25일1487년 3월 27일~1506년 9월 25일
샤를 3세1500년 2월 24일1558년 9월 21일1506년 9월 25일~1556년 1월 16일
필리프 3세1527년 3월 21일1558년 9월 21일1556년 1월 16일~1558년 9월 21일
이사벨라 클라라 유지니아1566년 8월 12일1633년 12월 1일1598년 5월 6일~1621년 7월 13일
앨버트1559년 11월 15일1621년 7월 13일
필리프 4세1605년 4월 8일1665년 9월 17일1621년 7월 13일~1665년 9월 17일
샤를 4세1661년 11월 6일1700년 11월 1일1665년 9월 17일~1700년 11월 1일
합스부르크 왕가
샤를 5세1685년 10월 1일1740년 10월 20일1713년 4월 11일~1740년 10월 20일
마리 2세 테레지아1717년 5월 13일1780년 11월 29일1740년 10월 20일~1780년 11월 29일


4. 룩셈부르크 대공

'''룩셈부르크 대공'''(여대공)은 룩셈부르크의 국가 원수이다. 룩셈부르크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현존하는 주권 대공국이다. 1815년 오라녜나사우 가문 아래에서 네덜란드동군연합을 이루면서 룩셈부르크는 대공국으로 승격되었다.

룩셈부르크 헌법은 대공의 지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대공은 국가 원수이며, 국가의 통합을 상징하고, 국가 독립의 보증인이다. 그는 헌법과 국가의 법률에 따라 행정부 권한을 행사한다.[2]

1890년 네덜란드와의 동군연합이 종료된 이후, 대공은 주로 정부의 조언에 따라 행동하며 대부분 대표적인 역할에 한정되었다.

4. 1. 오라녜-나사우 왕가

룩셈부르크 공국나폴레옹 전쟁 시기에 프랑스 제1제국에 합병되었다. 빈 회의에서 대공국으로 승격되었고, 네덜란드 연합 왕국의 빌럼 1세기욤 1세가 되어 동군연합을 이루게 되었다.

사진
초상화
이름출생년월일사망년월일통치기간비고
오라녜 나사우 왕가
기욤 1세1772년 8월 24일1843년 12월 12일1815년 3월 15일~1840년 10월 7일
기욤 2세1792년 12월 6일1849년 3월 17일1840년 10월 7일~1849년 3월 17일
기욤 3세1817년 2월 17일1890년 11월 23일1849년 3월 17일~1890년 11월 23일


4. 2. 나사우-바일부르크 대공가

1890년 11월 23일 – 1905년 11월 17일100px1817년 7월 24일
비스바덴 (프로이센)(1) 러시아의 엘리자베스 미하일로브나 대공녀
1844년 1월 31일
[자녀 1명(사산)]
(2) 안할트-데사우의 아델하이트-마리 공녀
1851년 4월 23일
[자녀 5명]1905년 11월 17일
콜마르-베르그빌헬름 3세의
남계로 17촌
오렌지공 빌럼 4세를 통한 3촌
앤의 직계 후손빌헬름 4세
1905년 11월 17일 – 1912년 2월 25일100px1852년 4월 22일
비스바덴 (프로이센)포르투갈의 마리아 안나 인판타
[자녀 6명]1912년 2월 25일
콜마르-베르그장남마리 아델라이드
1912년 2월 25일 – 1919년 1월 14일
(퇴위)100px1894년 6월 14일
콜마르-베르그미혼
[무자녀]1924년 1월 24일
렝그리 (독일)장녀샤를로트
1919년 1월 14일 – 1964년 11월 12일
(퇴위)100px1896년 1월 23일
콜마르-베르그부르봉파르마의 펠릭스 공자
1919년 11월 6일
[자녀 6명]1985년 7월 9일
피슈바흐차녀장
1964년 11월 12일 – 2000년 10월 7일
(퇴위)100px1921년 1월 5일
콜마르-베르그벨기에의 조제핀-샤를로트 공주
1953년 4월 9일
[자녀 5명]2019년 4월 23일
룩셈부르크 시장남앙리
2000년 10월 7일 – 현재
1955년 4월 16일
베츠도르프마리아 테레사 메스트레 이 바티스타
1981년 2월 4일/1981년 2월 14일
[자녀 5명]장남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Bohemian royal titles based on contemporary documents http://eurulers.alte[...]
[2] 웹사이트 Constitution de Luxembourg http://www.legilux.p[...] Service central de législation 2007-07-01
[3] 서적 ルクセンブルク大公国徹底解説
[4] 서적 G.トラウシ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